'공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공부 11

Enlightenment Foundation Libraries (EFL): 정의, 목적, 구성요소, 사용처

1. EFL의 정의Enlightenment Foundation Libraries(EFL)는 고성능, 경량화를 목표로 개발된 오픈소스 그래픽 툴킷과 라이브러리의 집합입니다. EFL은 특히 임베디드 시스템과 리소스가 제한된 환경에서도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Enlightenment 프로젝트(특히 윈도우 매니저인 Enlightenment)를 지원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나, 독립적인 개발 도구로도 널리 사용됩니다.2. EFL의 목적 • 경량성과 고성능:EFL은 CPU와 메모리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원활히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IoT, 모바일,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 고급 그래픽 기능 제공:벡터 그래픽, 텍스처, 애니메이션 등의 고..

공부/개발 2025.01.15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정의와 특징

1. 프로세스 (Process)정의: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운영 체제에서 독립된 실행 단위.특징:각 프로세스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코드, 데이터, 힙, 스택)을 가짐.다른 프로세스와 메모리를 공유하지 않음 (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사용 필요).상대적으로 무겁고 생성/종료 시 오버헤드가 크며, 문맥 교환 비용이 높음. 2. 스레드 (Thread)정의: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경량화된 실행 단위.특징:같은 프로세스 내의 스레드는 메모리(코드, 데이터, 힙)를 공유.각 스레드는 독립된 스택과 레지스터를 가짐.상대적으로 가볍고, 생성/종료 시 오버헤드가 적으며, 문맥 교환 비용이 낮음. 장단점프로세스장점:독립적이어서 하나의 프로세스가 종료되더라도 다른 프로세스에..

공부/개발 2025.01.13

NUI App, Web App, Native App 구분, 특징, 장단점

1. NUI App (Natural User Interface App)NUI 앱은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앱입니다.TV에서는 주로 음성, 제스처, 터치 또는 리모컨을 사용하는 앱에서 활용됩니다.Native App의 하위 범주입니다.특징상호작용 방식:음성 명령: 예) "볼륨 높여", "채널 10 틀어줘".제스처: 리모컨 없이 손 동작으로 메뉴를 선택하거나 스크롤.터치패드 리모컨: WebOS, Tizen OS 기반 TV에서 제공.구현 기술:음성 인식: Google Assistant, Amazon Alexa, 삼성의 Bixby.제스처 인식: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여 모션 추적.AI 기술: 딥러닝을 활용해 사용자 행동을 예측하거나 인식.사용 사례:스마트 TV 설정에서 음성으로 네트워크 연결...

공부/개발 2025.01.09

Service, daemon이 뭘까

개발자라면 service와 daemon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둘 다 시스템에서 특정 작업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지칭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1. Service (서비스)정의: 서비스는 시스템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스입니다. 사용자가 직접 요청하지 않아도 특정 트리거에 의해 실행되며, 일반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됩니다.특징:사용자가 직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하지 않아도, 시스템이나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됩니다.서비스는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에서 자주 사용되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응답을 제공합니다.Windows와 Linux 모두에서 사용됩니다.운영체제별 동작:Windows: Windows Services는 백그라운드 작업을 처리하며, 제어는 서..

공부/개발 2025.01.09

NLP 자연어처리란?

NLP는 두 가지 주요 의미로 사용됩니다: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 처리 •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하며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또는 학문입니다. • 주요 응용 분야: • 음성 인식 (예: Siri, Google Assistant) • 번역 시스템 (예: Google 번역) • 챗봇 (예: 고객 지원 봇) • 텍스트 분석 (예: 감정 분석, 주제 분류) • 추천 시스템 (예: 맞춤형 광고) • 예시 기술: • 토큰화(Tokenization): 텍스트를 단어 또는 문장 단위로 나누는 과정. • 형태소 분석: 단어의 구성 요소(어근, 접사 등)를 분석. • 언어 모델: GPT, BERT 등 자연어 이해/생성 모델.요약 • NLP = Natural Languag..

공부/기술 2024.11.18

파이썬 딕셔너리 완벽 가이드: 기초부터 고급 활용까지

파이썬의 딕셔너리(Dictionary)는 키(key)와 값(value)을 쌍으로 저장하는 매우 유용한 자료 구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 딕셔너리의 기본 문법부터 다양한 활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 파이썬 딕셔너리의 기본 구조파이썬에서 딕셔너리는 중괄호 {}를 사용하여 정의됩니다. 각 요소는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콜론 :으로 구분합니다. 여러 요소는 쉼표 ,로 나열합니다. # 딕셔너리 기본 예시student = { 'name': 'John Doe', 'age': 21, 'major': 'Computer Science'}print(student) 2. 딕셔너리의 요소 접근딕셔너리에서 특정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키를 사용합니다. # 특정 키의 값 출력print(s..

공부/기술 2024.08.31

AI란 무엇인가요? 인공지능이 일상 속으로 들어온 이유와 그 비밀을 풀어드립니다!

AI란 무엇인가요? AI, 즉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란 단어는 이제 우리 일상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AI가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인공지능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아주 쉽게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 AI는 사람처럼 사고하고, 배우고, 문제를 해결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AI는 사람의 지능을 모방하여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일을 크게 확장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음성 인식 기능이나, 인터넷에서 우리가 좋아할 만한 ..

공부/기술 2024.08.30

딥페이크 기술의 모든 것: 어떻게 작동하고, 왜 위험할까요?

1. 딥페이크란 무엇인가?딥페이크(Deepfake)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페이크(Fake)'의 합성어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영상, 음성, 이미지 등을 조작하여 진짜처럼 보이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특히 영상 속 인물의 얼굴을 다른 사람의 얼굴로 교체하거나, 음성을 모방하여 허위 정보를 생성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2. 딥페이크의 핵심 기술: 딥러닝딥페이크는 주로 딥러닝 알고리즘, 특히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을 이용해 만들어집니다. GAN은 두 개의 신경망으로 구성됩니다: 생성자(Generator)와 판별자(Discriminator). 생성자는 가짜 데이터를 만들고, 판별자는 이 데이터가 ..

공부/기술 2024.08.29

파이썬 가상환경 설정 완벽 가이드: 초보자도 쉽게 따라하기

파이썬 개발을 하다 보면 프로젝트마다 다른 패키지 버전을 사용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한 것이 바로 가상환경입니다. 가상환경을 통해 프로젝트 간의 의존성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파이썬 가상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Python 설치 확인먼저, 파이썬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터미널(또는 CMD)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python --version​또는python3 --version 위 명령어를 통해 설치된 파이썬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파이썬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Python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및 설치를 진행하세요.  2. 가상환경 모듈 설치 (필요 시)일반적으로 Python 3.3 이상 버전에는 ..

공부/기술 2024.08.29

[필기] 정보처리기사 공부 방법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공부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적어보려고 한다.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후기는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후기] 정보처리기사 2023년 1회 필기시험 정보처리기사 1회 필기를 봤다. 이번에는 일정 기간 안에서 시간을 선택해서 볼 수 있었다. 내가 본 것은 2월 19일 오전 9시 시험이었다. OMR로 컴싸 마킹해서 제출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 컴퓨터로 yujin1088.tistory.com 일단 난 전공자이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언어나 알고리즘 관련해서는 기본 지식은 있었다. 3주간 정도 공부했는데 2일에 한 번씩 3시간씩 띄엄띄엄 공부한 듯 뭔가 안다고 생각하니까 공부가 하기 싫었다... 공부할 때 최소 시간으로 최대 효율을 내자라고 생각하면서 하는 편이라 꼼수 아닌 꼼수를 썼다. 일단 CBT..